한국불교 3

한국불교 유적지 - 양산 영축산 통도사와 산내 암자

삼국유사 권제3 제4 탑상편에 보면 643년(선덕여왕)에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부처님의 두골과 이, 사리 100알, 붉은 비단에 금점이 찍힌 가사 1벌을 가지고 와서 3등분 하여 한 몫은 황룡사에, 한 몫은 태화사에 그리고 한 몫과 가사는 통도사에 두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통도사는 우리나라 3보사찰(불-통도사, 법-해인사, 승-송광사) 중 하나이며, 대승경전인 법화경을 설한 장소이자 영산(영축산의 줄임말)법회가 열렸던 장소로 유명한 인도 라즈기르(왕사성)에 있는 영축산(그릿라쿠타- 독수리봉)과 그 이름이 같은 경상남도 영축산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신라인들의 통도사 금강계단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같은 이름의 영축산인 것이다. 통일신라와 고려시대를 거치며 왕실과 백성들이 함께했던 불교..

한국불교 2020.02.03

함허당 득통기화스님

조선초 기화(己和, 1376~1433)스님은 충주 출신이며 속성은 유씨(劉氏)이며 이름은 기화이다. 스님은 21살 때인 1396년(태조 5)에 관악산 의상암에 들어가 머리를 깎았으며, 이듬 해에 양주 회암사로 무학대사를 찾아가 그의 제자가 되었고 법명은 득통(得通)이고 호가 함허당(涵虛堂)이다. 함허당 득통 기화스님은 금강경5가해해설의(금강경에 대한 중국 5스님들의 오가해를 특통 기화스님이 재 해설한 것으로 스님이 입적한 뒤 1457년에 세조께서 신미스님 등에게 명하여 널리 유포가 된 해설서 임)를 저술한 스님이며, 정도전과 유생들의 주장을 받아들인 태조 이성계의 배불숭유정책으로 어려움에 처한 조선초기의 불교를 유지하기 위해 현정론(顯正論)을 저술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인 스님이시다. 스님은 1421년..

한국불교 2019.12.31

반야심경 해석

반야경의 정수를 뽑은 반야심경은 다양한 시각으로 해석할 수는 있으나, 결국 반야사상에 입각한 해석이 바른 해석이라 할 수 있다.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매우 크고 밝은 지혜(통찰지)로 깨달음을 이루는 수행의 핵심 경전 5온개공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 照見 五蘊皆空 度 一切苦厄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 수행을 할 때, 나라는 존재(5온)가 공한 것임을 비추어 보고는 모든 괴로움과 불행으로부터 벗어났다. 5온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 사리자여, 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도 색과 다르지 않다. 공이 곧 색이며, 수상행식 또한 이와 같다. 제법공상 舍利子 是諸法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 사리자여, 이 모든 법의 공한 모습은 태어나는 것도 아니고 소멸하는 것도 아..

한국불교 2019.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