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6

마애불 - 경상북도

이제 마지막으로 남한에서 경주지역 다음으로 불교문화재가 전 지역에 많이 산재해 있는 경상북도를 찾아간다. 그런데 강원도 지역이 빠진 것은 우리나라에서 유명한 마애불이 가장 없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그 이유가 자연이 조각한 멋진 바위들이 너무 많아서 사람들이 감히 엄두를 내지 않은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설악산 천불동 계곡 1개만 해도 무려 1,000개(?~)의 부처가 있는데 굳이 사람들이 그것보다 못한 작품을 만들기 위해 목숨 걸고 바위에 메달려 징과 망치를 들고 쫏아 댈 아무런 이유가 없다고 판단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리고 이곳의 바위가 여간 커야 말이지.. 1. 구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 구미시 황상동 공단지역에 있는 솔매고개 언덕편 바위에 새겨진 마애여래입상(보물 1122호)은 그 크기가 약 ..

문화재 2020.03.02

마애불 - 서울경기, 충청도

이제 고려시대 작품이 많은 서울과 경기도 그리고 충청도 지역의 마애불을 찾아 가보자. 1. 파주 용미리 마애2불입상(보물 93호)- 경기도 파주시 용미리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거대한 마애불이 있는데 그 크기가 무려 17.4m나 된다. 선운사 동불암터 마애여래좌상보다 약 2m가 더 크다. 용미리 마애불은 기록에 의하면 1471년(성종 2년)에 양녕대군의 아들 함양군과 한명회의 3째 부인인 정경부인 이씨 등 여러 명의 시주로 정희왕후의 고향인 이곳 파주에 세조와 세조의 비 정희왕후의 극락왕생을 기원하기 위해 조성하였다 한다. 그러나 이 마애 거불에는 고려시대의 양식이 많이 나타나고 해서 일부 저명한 전문가들은 조선시대의 것이 아닌 고려시대의 것이고 명문은 후대에 판 것이라고 주장하니 참고하여 보기 바란다. ..

문화재 2020.03.01

마애불 - 전라도, 경상남도

우리나라 문화재 중 가장 보기가 어렵고 그래서 더 더욱 매력적인 것이 마애불(磨崖佛)이다. 그 이유는 승탑은 사찰 주변이나 뒷 산에 있어 찾아보는 것이 쉬운듯 어렵지만, 마애불은 대다수가 승탑보다 더 높은 산 중턱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등산을 한 후 마애불을 본다는 것은 상당수가 반나절 내지 하룻일로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낮은 곳에서 마애불을 보게 되면 왠지 횡재를 한 기분이 든다. 비록 문화재에 대해 아마추어일지라도 많은 마애불을 보게 된다면 스스로도 대견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게으른 프로들 보다 더 나은 부분이 있다는 생각에 ㅋ~ 그리고 그러한 감정은 직접 해본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소중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내가 생각하는 우리나라 대표 마애불을 전라도를 시작으로 경남과 경..

문화재 2020.02.29

마애불 - 경주

이번에는 한국불교 문화재의 명실상부한 국가대표인 경주지역과 그 경주에서도 야외박물관으로 불리우는 문화재의 보고인 경주 남산지역의 마애불을 찾아가보자. 1.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 경주 남산에 있는 칠불암 마애불상군(국보 312호)으로 병풍바위에 새겨진 3존불과 4각돌에 새긴 4면석불을 합쳐 모두 7개의 불상이 있는데 남산에 있는 수많은 마애불상들 중 조각 솜씨가 가장 뛰어날 뿐 아니라, 우리나라 마애불 중에서도 최고의 작품이라 나는 생각한다. 경주지역의 타 문화재는 낮은 곳에 위치하여 마모나 훼손이 심해 고려시대보다 더 뛰어난 돌 조각솜씨를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는 통일신라시대 석물들이 수십 종류나 있어 안타까웠으나, 칠불암 마애불상군은 높은 산 큰 바위에 조각이 되다보니 훼손도 상대적으로 덜 이루어진..

문화재 2020.02.28

폐사지 소개 2 - 절터

앞번 절터(폐사지) 소개에 빠진 몇 곳을 더 소개해 본다. 11. 산청 단속사터- 이 절터는 우리나라 선종 역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가 있는 사찰인데, 그 이유가 우리나라 선종 역사의 초조인 법랑은 중국에 유학을 가 중국 선종 4조인 도신의 법맥을 이은 선사로 우리나라에 북종선을 소개한 스님인데 그의 제자가 신행이며, 이 신행선사가 머문 사찰이 바로 단속사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우리의 입장에서는 법랑은 중국 선종 6조혜능에 앞선 5조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법랑선사에 대한 연구나 예우는 좀처럼 찾기가 어렵다. 한국 선종불교에서도 사대주의의 병폐가 있어 아쉽기 그지 없다. 우리나라 선종의 역사는 9산선문을 중심으로 남종선의 역사를 내세우는데 이는 이들 산문의 개창조들이 대다수 중국 당나라로 유학을..

문화재 2020.01.04

폐사지 소개 - 절터

내가 좋아하는 우리나라 대표 폐사지(절터)를 소개해 본다. 1. 합천 영암사터 영암사터에는 통일신라 3대 쌍사자 석등 중 하나이며 보물 353호로 지정된 마모가 심한 쌍사자 석등이 있고, 불국사의 석축과 유사한 양식의 석축이 있으며, 승탑 귀부 2기와 3층석탑이 있다. 그리고 영암사터 뒷산인 묘산(합천사람들은 이 산을 작은 금강산이라 칭함)은 화강암 바위 경치가 매우 좋은 산이다. 우리나라 절터 중 최고의 절터인 익산 미륵사터나 경주 황룡사터를 두고 내가 이 영암사터를 먼저 올린 것은 이 절터의 쌍사자 석등과 관련된 합천군 가회면 사람들과 관련된 이야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1933년 어느 야밤에 다수의 일본인이 이 쌍사자 석등을 훔쳐갔으며, 이들의 이동 모습을 본 이웃 주민들로부터 뒤늦게 알게된 가회면..

문화재 2020.01.01